본문 바로가기
경제

복리·단리·금리 계산법 완전정리! 20년 후 자산 얼마나 차이날까?

by 시작별 2025. 4. 20.
반응형

 

 

반응형

 

👀 복잡해 보였던 금융 용어, 사실은 이렇게 간단합니다!

"복리? 단리? 금리? 다 비슷한 말 아니야?"

처음 재테크에 발을 들인 분들이 가장 먼저 부딪히는 헷갈림입니다.

하지만 딱 5분만 투자하면, 앞으로 금융상품 고를 때 실수할 일이 없어져요.

 

이제, 어렵게 느껴졌던 이자 계산법을

도넛 사장님 비유부터 실제 예시까지 활용해서

👶 초보자도 단박에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릴게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🧠 용어 한 줄 요약으로 이해 끝내기

개념 의미 쉽게 말하면
금리 1년간 자산이 얼마나 불어나는지 나타내는 비율 수익 속도
이자율 금리와 사실상 같은 말 퍼센트(%)로 표현
단리 원금에만 이자 계산 정해진 수익
복리 이자에도 이자가 붙음 시간이 돈을 키움

 

💬 요약하면,

금리·이자율은 수익률을 나타내는 퍼센트고

단리·복리는 그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🧮 단리 vs 복리, 예시로 보면 3초 만에 이해돼요!

🔹 단리 계산법: 원금만 기준으로 이자 계산

📌 공식

원금 × 금리 × 기간 = 총이자

 

1,000만 원을 연 5%로 3년 맡기면?

 

→ 1년 차 이자: 50만 원

→ 2년 차 이자: 50만 원

→ 3년 차 이자: 50만 원

총이자 = 150만 원 / 총액 = 1,150만 원

 

👉 늘 똑같은 금액만 불어나는 구조입니다.

✔️ 계산은 쉽지만, 장기 투자는 비효율적이에요.

 

🔹 복리 계산법: 원금 + 이자 전체에 이자 붙음

📌 공식:

원금 × (1 + 금리)^기간 = 최종 금액

 

1,000만 원을 연 5% 복리로 3년 맡기면?

→ 1년 후: 1,000만 원 × 1.05 = 1,050만 원

→ 2년 후: 1,050만 원 × 1.05 = 1,102.5만 원

→ 3년 후: 1,102.5만 원 × 1.05 = 약 1,157.6만 원

 

총 이자 = 약 157.6만 원 (단리보다 약 7.6만 원 ↑)

 

👉 이자가 이자를 불러오면서 점점 더 빠르게 증가합니다.

✔️ 시간이 내 편이 되는 방식이에요 ⏳💰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🌱 복리·단리, 씨앗으로 설명하면 더 잘 보입니다!

자, 돈을 심는다고 생각해 볼게요.

💰 ‘단리’는 매년 씨앗 하나만 심는 농부,

🌳 ‘복리’는 씨앗이 자란 나무에서 열매가 생기고, 그 열매로 다시 나무를 키우는 농부입니다.

 

🟡 단리 농부: 매년 똑같은 씨앗 한 개만 심어요

  • 1년 차: 씨앗 1개 → 나무 1그루 🌲
  • 2년 차: 또 씨앗 1개 → 나무 1그루 🌲
  • 3년 차: 또 하나 → 총 3그루 🌲🌲🌲

✔️ 매년 ‘정해진 수확’만 생깁니다.

👉 예측은 쉬운데, 폭발적인 성장은 어렵죠.

 

🟢 복리 농부: 자란 나무에서 열매를 수확해 또 심어요

  • 1년 차: 씨앗 1개 → 나무 1그루
  • 2년 차: 이 나무에서 씨앗 2개 → 2그루
  • 3년 차: 씨앗 4개 → 4그루
  • … 시간이 갈수록 ‘씨앗이 씨앗을 낳는 구조’ 🌳🌳🌳🌳

✔️ 초기 성장 속도는 느릴 수 있지만,

👉 시간이 지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수확이 늘어납니다!

 

💡 한 줄 요약

단리 = 씨앗 하나로 나무 하나만 키우는 방식 (예측 가능)

복리 = 나무가 씨앗을 만들고, 그 씨앗이 다시 나무가 되는 방식 (시간이 곧 자산!)

 

🌿 결국, 복리는 시간이 갈수록 ‘자산 생태계’를 만드는 구조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📊 실제 투자 시뮬레이션: 매달 30만 원씩 20년 투자 시

조건 내용
월 납입액 30만 원
연이율 5%
납입 기간 20년 (총 240개월)
방식 적립식 복리

 

📌 결과: 약 1억 500만 원 누적 자산 형성 가능

※ 단리였다면 약 9,000만 원 정도에서 멈췄을 수 있습니다.

👉 복리 덕분에 1,500만 원 이상 차이 발생!

 

 


 

 

🧮 계산 공식 정리 (초보자용 요약)

방식 공식 적용 예시
단리 원금 × 이자율 × 기간 1,000 × 5% × 3 = 150만 원
복리 원금 × (1 + 이자율)^기간 1,000 × (1.05)^3 ≈ 1,157.6만 원
적립식 복리 P × [((1 + r)^n – 1) ÷ r] × (1 + r) 매달 불입 시 사용

 

📌 P는 월 납입금, r은 월 이자율, n은 총 납입 개월 수입니다.

 

 

 


 

 

✅ 단리 vs 복리, 언제 써야 할까?

구분 단리 복리
투자 기간 짧은 기간 5년 이상 장기
상품 유형 예적금, 일부 보험 연금보험, 펀드, IRP, 장기 적금
수익 구조 예측 가능 복잡하지만 수익 큼
핵심 포인트 간단함 시간이 돈을 만든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🔁 마무리 요약

  • ✔ 금리 = 돈이 자라는 퍼센트(%)
  • ✔ 이자율 = 금리와 같음
  • ✔ 단리 = 원금에만 이자
  • ✔ 복리 = 원금 + 이자 전체에 이자
  • ✔ 장기 재테크 = 무조건 복리 구조로 가야 유리!

 


 

 

💬 마치며

복리와 단리, 금리와 이자율...

개념만 알면 쉽지만, 모르면 연금·적금에서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.

 

지금부터라도 복리의 힘을 믿고

연금, 펀드, 장기 적립 상품 등을 선택할 때

꼭 계산법을 기준 삼아 비교해 보세요.

 

👍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, 댓글, 저장도 한 번 부탁드립니다!

다음 글에서는 "복리 30년 투자 시 자산이 몇 배까지 불어나는지" 실제 사례로 분석해 드릴게요 😊

 

반응형

댓글